본문 바로가기
역사&사회

[버지니아 울프] 영국의 위대한 페미니스트 여성 예술가 - 2

by v슈뢰딩거 2020. 8. 23.

이번에는 버지니아 울프의 삶과 인생보다는 그녀가 지은 저서인 <자기만의 방>에 대해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녀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보고 싶으시면 그전편을 보고 와주세요.

<자기만의 방>은 버지니아 울프가 케임브리지 대학교 내 여자 대학교인 거턴과 뉴넘에서의 강연을 위해 '여성과 픽션'을 소재로 글을 썻는데, 이 강연 발표문의 내용을 가지고 <자기만의 방>을 집필하게 되었다. 이책에서 그녀는 여러 여성작가들의 작품을 고찰하고 그녀들의 작품들에서 여성이라는 이유로 통제받고, 제한되어 뒤틀린 작품을 쓸 수 밖에 없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래서 그녀는 이 책에 여성작가들에 대한 문학적 유산을 논의하게 된다. 이 책은 처음에는 정치적이나 사회적 견해적인 책은 아니였다. 하지만 1970년대에 페미니즘 문학 비평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이 책과 그녀의 명성은 높아 지게 된다.

 

https://jjfac.tistory.com/11

 

[버지니아 울프] 영국의 위대한 페미니스트 여성 예술가 - 1

영국의 소설가이자 문학비평가인 버지니아 울프는 가장 영향력 있는 모더니즘 작가 중 한 명이다. 제임스 조이스, 윌리엄 포크너 등과 함께 혁신적인 서술 기법과 주제로 소설 장르에 혁명을 일

jjfac.tistory.com


<자기만의 방>최초의 페미니스트 저서


1편에서 그녀는 가장 영향력 있는 모더니즘 작가라고 말했었는데, 모더니즘 작가말고도 따라다니는 수식어는 '페미니즘'이다. 왜냐하면 그녀가 쓴 강연문에 기초한 에세이인 <자기만의 방>때문이다. 울프는 이 책에서 여성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을 지적하였다. 첫 문장만 읽어도 그녀가 어떤 마음으로 이 글을 작성하였는지 알 수 있다.

 

내가 할 수있는 일이라고는 고작해야 별로 중요해 보이지 않는 한 가지 의견, 즉 여성이 픽션을 쓰기 위해서는
돈과 자기만의 방이 있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 뿐이다.

-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이 당시의 여성은 도서관을 이용하려해도 연구원을 동반하거나 소개장을 소지해야만 이용이 가능 했었다. 또한 재산권의 부재와 가난, 출산, 육아 등 여러 가사 활동 때문에 지적 활동 및 사회적 활동이 제약되기도 하였다. 그 반대로 남성은 자신의 우월함을 주장하기 위해 여성의 열등함을 증명하는 데 주력해 왔으며 여성은 그 희생양이라고 책은 말하고 있다.

이런 내용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페미니즘 비평을 위한 서적이라 말하는 것도 이해할 수 있다. 오늘날의 우리나라의 페미니즘을 지향하는 이들이 '82년생 김지영'을 읽듯이 유럽의 페미니즘을 지향하는 사람들은 <자기만의 방> 이라는 책을 읽었다. 또 한 이책에서는 그녀의 문학론이 피력되어 있고 여성뿐 아니라 모든 작가에게는 물질적 토대, 즉 "돈과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 그녀는 숙모에게서 유산(일 년에 500파운드)을 상속받은 뒤 '두려움과 쓰라림'에서 해방됐다며 책에 쓰고 있다.

그 당시의 쓰라림을 기억하건대, 고정된 수입이 사람의 기질을 엄청나게 변화시킨다는 사실은 참으로 놀라운 일이라고요.
이 세상의 어떤 무력도 나에게서 500파운드를 빼앗을 수 없습니다.
음식과 집, 의복은 이제 영원히 나만의 것입니다.
그러므로 노력과 노동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증오심과 쓰라림도 끝나게 됩니다. 나는 누구도 미워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무도 나에게 해를 끼칠 수 없으니까요. 또 누구에게도 아부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가 나에게 줄 것이 없기 때문이지요.
이렇게 하여 나는 스스로 인류의 다른 절반에 대해 아주 미세하나마 새로운 태도를 취하게 되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 

여기에서 말하듯 그녀에게 돈이란 자유로운 삶을 살기 위한 필요조건 이였다. 또한 그녀는 셰익스피어에게 문학적 재능이 있는 누이동생이 있었다면 그녀는 오빠와 같은 대작가가 되기는 커녕 오히려 광기에 사로잡혀 파멸했으리라 라는 가정적 의견도 쓰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여성들은 현대와 다르게 자기만의 방을 갖는 것은 그녀의 부모가 보기 드문 부자이거나 대단한 귀족이 아니라면 전혀 불가능한 일이라 하고 있다. 실제로도 그녀보다 전시대의 소설가 제인 오스틴도 공동 거실에서 소설을 써야만 했었다. 이렇듯 그녀는 여성, 작가, 남성이 아닌 인간이 인간으로서의 기본권을 향유하기 위해서는 돈과 자기만의 방이 필요하다고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있다.

댓글